팀 설문이나 익명 피드백을 구글 폼(Google Form)으로 받으신 적 있으신가요?
그런데 설문지를 운영하다 보면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이 응답 누가 쓴 걸까? 추적할 수 있을까?”
이번 글에서는 구글 설문지 응답자 IP 추적이 가능한지, 그리고 어떤 정보까지 확인 가능한지를 기술적, 정책적, 법적 관점에서 모두 정리해보았습니다.
1. 구글 설문지에서 IP 주소를 기본으로 수집할까?
아니요. 구글 설문지는 기본적으로 IP 주소를 수집하거나 저장하지 않습니다.
‘응답자 이메일 자동 수집’ 옵션이 꺼져 있고, 로그인 없이 응답을 받는 경우엔 응답자의 개인 정보는 저장되지 않습니다.
다만, 폼 응답 내용에 “타임스탬프(응답 시간)”만 포함되며, 어떤 기기에서 응답했는지, 어느 위치인지도 알 수 없습니다.
2. IP 추적을 위한 설정은 없나요?
- ❌ “IP 기록” 설정은 구글 폼 기능에 존재하지 않음
- ❌ 서드파티 애드온을 써도 구글 서버에서 IP를 받아오지 않음
- ❌ 링크 단축(URL Shortener)로도 실질적인 IP 추적 불가
즉, ‘누가 응답했는지’ 알아내는 공식 기능은 없습니다.
3. 유일하게 가능한 추적 방법은?
완전한 익명 설문이 아닌, 구글 계정 로그인을 요구한 설문지의 경우 응답자의 이메일 주소(=계정)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은 설문 작성 시 상단의 설정 탭에서 “응답자 이메일 주소 수집”을 선택해야 활성화됩니다.
4. 구글의 개인정보 보호 정책 상 제한
구글은 자체 정책(Google Privacy Policy)에 따라 사용자의 IP, 기기 정보, 위치 등을 서버에서는 기록하지만, 일반 사용자에게는 노출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설문지 관리자도 IP 주소나 브라우저 정보, 기기 정보 등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법적 요청(수사기관 요청 등)을 제외하면 구글이 이를 제공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5. IP 추적을 시도하다 생길 수 있는 법적 문제
- ❌ 응답자 몰래 IP 추적 스크립트를 삽입 →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소지
- ❌ 추적 의도로 외부 링크 삽입 후 응답자 신원 밝히기 → 위법 가능성 있음
- ⚠️ 협박, 모욕, 고의적 대응용으로 수집하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음
✅ 결론: 구글 설문지는 기본적으로 ‘익명’입니다
구글 설문지는 기본적으로 응답자의 신원을 보호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관리자는 IP, 위치, 기기 정보에 접근할 수 없으며,
구글 계정 로그인을 요구하지 않았다면 완전한 익명으로 처리됩니다.
설문 운영자 입장에서는 다소 아쉬울 수 있지만,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하면 오히려 신뢰할 수 있는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참고자료
- Google Forms 공식 도움말 – 익명 응답 설정
- 구글 개인정보 처리방침 (Google Privacy Policy, 2024)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 온라인 설문 보안 가이드
댓글 쓰기